Arduino IDE 2로 개발환경을 변경한 후 기존 Arduino IDE 1에서 사용했던 보드들을 이전하다 보니 기존에 사용했던 digispark 보드가 Arduino IDE 2에서는 사용이 안되는것 같습니다.
기존의 digistup.com 서버가 죽은 건지 접속이 안되면서 기존의 패키지(http://digistump.com/package_digistump_index.json)를 받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아두이노 포럼을 살펴보니 이런 경우 패키지 설치 주소를 아래 주소로 변경하면 패키지 설치가 가능하다고 하여 기존것 대신 아래것으로 변경후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https://raw.githubusercontent.com/digistump/arduino-boards-index/master/package_digistump_index.json
Arduino IDE 2의 Preferences의 Additional Boards Manager URLs에 새로운 패키지 주소를 입력하였습니다.

OK 버튼을 클릭하니 정상적으로 JSON 파일을 분석하여 패키지 내용을 읽어오고 아래와 같이 보드매니저에서 Digistump AVR Boards가 검색됩니다.

INSTALL 버튼을 클릭하여 보드 패키지와 윈도우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는지를 확인해 봅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이전 버전과 같이 메뉴를 통해 digispark 보드와 Port를 선택합니다.

Arduino IDE 2에서는 보드와 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다른 방법도 제공됩니다.
아래와 같이 보드와 COM 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박스를 클릭하면 설치된 보드들과 포트들이 나열되는데 Digispark 보드와 해당 COM 포트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렇게 보드와 포트를 선택후 가장 기본 예제인 File -> Examples -> 01. Basics -> Blink 예제를 불러와 테스트해 봅니다.
빌드해 보면 LED_BUILTIN이 정의가 안되어 에러가 발생됩니다.
digispark 회로도를 보면 PB1 포트에 LED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define LED_BUILTIN 1” 코드를 아래 이미지의 붉은색 사각형 부분과 같이 추가해 줍니다.

업로드 버튼을 누른 후 Plug in device now… (will timeout in 60 seconds) 메시지가 나오면 이때 digispark 보드를 USB와 연결합니다.
업로드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아래 메시지가 뜨고 보드는 자동으로 재부팅 됩니다.
running: 100% complete
>> Micronucleus done. Thank you!
재부팅후 LED가 1초마다 깜박거리면서 정상동작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패키지 URL을 적용하여 Arduino IDE 2에서 digispark를 동작시켜 보았습니다.